본문 바로가기

SJ/☞HR Story

친절한 주현씨의 HR이야기(4) - 직장인의 자세: 결자해지(結者解之)

친절한 주현씨의 HR이야기(4) - 직장인의 자세: 결자해지(結者解之)

 

사전적 의미

 - 맺힌 것은 그것을 맺은 사람이 풀어야 함. 즉 문제를 일으킨 사람이 그 문제를 해결해야 함.

 

회사 생활 4년차,

어느덧 중견사원(?)의 위치에 접어든 직원이라면, 누구든 이제는 일을 자기주도적으로 하고 있다는 자신감이 생길 법도 한 연차다. 업무를 하다보면 순간 순간의 판단과 커뮤니케이션이 중요할 때가 있다. "고작" 4년차의 사원이 모든 걸 알고, Control할 수는 없는 법이지만, 가끔 지나친 자신감으로 일을 처리하다 보니 정작 중요한 Manner/Etiquette을 놓치는 경우가 있었다..

 

다시는 같은 실수를 되풀이 하지 않기 위한 Self-Discipline으로 아래와 같이 간단히 정리해본다.

 

1. 일을 처리할 땐 반드시 규정/규율을 확인해라.

 - 많은 기업들의 Tranceparent(투명성)을 강조하는 추세에서, HR담당자로서 반드시 명확한 규정을 준수해야 한다.

 

2. 업무의 이해관계자/Communication Channel을 준수하라.

 - 리더에 따라 다르지만, 업무의 권한에 따라 단독 업무를 수행하더라도, 근대 팀조직제에서는 업무의 정/부가 명확하게 구분되어 운영된다. 나와 함께 일하는 사람들과의 Communication이 최우선이며, 의사결정 이전의 논의는 필수적이다.

 

3. 중간보고를 놓치지 마라.

 - 위임된 권한을 혼자만의 그것이라 착각하지 말고, 일의 진행사항을 팀원 및 리더와 공유하여, 업무의 Risk를 최소한으로 하며,

주변의 조언을 구하라.

 

4. 업무를 수행 후 결과에 대한 Review와 Feedback을 구하라.

 - 업무에 따라 결과가 좋을 수도,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잘된 점은 더욱 발전시키고, 문제점은 보완하여 향후 진행에 반영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5. 기타: 잘못을 인정하라

 - 나는 만능이 아니다. 인간은 언제나 실수를 하기 마련이고, 실수를 덮어두려 하다가 큰 사고가 될 수 있다. 이 글의 제목이기도 한 결자해지는 사회생활뿐만 아니라, 모든 경우에 적용될 수 있겠지만.. 실수가 있을 경우 바로 그 잘못을 인정하고 수정하려는 자세가 직장인에게 가장 필요한 자세이자 덕목이라고 생각한다. (나는 비록 자존심이 무척 강하지만..) 순간적인 판단 착오로 태도적인 문제를 발생하게 되면, 결국 동료와의 관계 또한 나빠질 가능성이 많다.

 

대부분의 직장인에게 업무 이전의 더 큰 중요함은 인간 관계라는 통계가 증명하듯, 사내에 절대 본인의 적을 만들지 마라. 스스로 규칙을 지키되, 자의적인 해석에 따라 업무를 처리하지 않는다면 적어도 "나쁜 평판"을 얻는 직원이 되진 않을 것이다.

 

만약 관계가 불편해질 수 있는 일이 있더라면, 자존심을 한 수 접어두고 즉시 사과하여 관계를 회복하도록 노력해라..

 

 

p.s.

난 아직도 멀었다..

반성하고, 더 노력하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