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ngs to read (34) 썸네일형 리스트형 디카를 고를때는..? 요즘 이상하게시리 디카랑 폰카랑 강세죠?.. 다들 디카 하나씩은 가지고 싶을꺼죠.. 여기저기 다니면서 막찍고 바로 보구.. 근데 사보면 자신이 생각하던거하고 완전틀리거든요.ㅋ 사진도 흔들리고..막상 잘안될거에요. 저도 아직은 초짜 거든요..^^ 첫 구매할땐 머리가 아플거에요.. 멀사야 할지.. 근데 살때 절때 화소수에 연연하지 말것.! 주위에서 무식하게 화소수가 높아야 진짜 좋은거라고.. 바로 쌩~ or 즐~ ^^; ㅇㅋ? 화소수는 200~300만 정도면 적당해요.. 보통 500만으로 나와도 대형인화가 아니고선 잘안써지니깐요. 그러니깐 500만 사도 보통은 300만에 맞춰찍는걸 명심. 단, 전문적으로 인화하고 메모리카드 감당할수 있는사람은 제외 ㅋ 두번째로 고심되는게 메이커일것이고.. 보통은 메이져급 회.. [미국 intrax internship] 알아두면 편한 사항들- ^^ 제가 벌써 LA 에 온지도 어느덧 5개월이 조금 넘었네요- 제 한국 Agency인 인턴하우스에 따르면, 제가 LA로 오게된 첫 Case 라서 정작 같이 온 인턴조차없었는데.. 꿋꿋히 버티고 살면서 벌써 5개월이란 시간이 흘렀네요~ㅎ 오시기 전에 알고오시면 도움이 될 만한 사항 몇 가지 남겨볼까해서 글 적습니다.ㅎㅎ * ICCE & Intrax 쉽게 말해서 ICCE는 미국내에 Intern Agency 라고 생각하시면 쉬울거에요, 딱히 신경써주는 건 없지만, 인턴들이 미국에 들어올때와 나갈때 그 밖의 어려움이 있으면, 일단 ICCE에 알리고 도움을 청할 수 있으니, 그래도 없는것 보단 훨씬 낫죠 ^^ Intrax는 인턴쉽을 Sponsor해주는 기관이랄까요?, 인턴들과는 직접적인 교류는 없지만 미국에서 와서 .. [한미FTA] 각 분야별 한미 FTA영향: 평화통일동북아 [각 분야별 한미 FTA영향: 평화통일동북아] 한반도 및 동북아시아 정세와 한미 FTA 한반도 및 동북아 정세는 최근 급격한 변화의 와중에 있다. 따라서 한미 FTA를 한반도 및 동북아시아에 형성된 정치 지형속에서 검토하는 작업은 한미 FTA에 대한 진보 진영의 대응과 진로를 설정함에 있어 반드시 필요한 일이다. 이러한 문제 의식에 따라 한반도 및 동북아시아 정세를 특징짓는 몇가지 주요한 방향을 서술하고 이에 기초하여 한미 FTA에 대해 언급해 보겠다. 1. 미국 주도의 일극 질서와 선군정치 91년 소련이 해체되면서 미소 냉전 체제는 해체되었다. 미국은 소련의 봉쇄로 생긴 정치군사적 공백을 세계 평화와 안정에 기여하는 방향으로 이끌기보다는 미국 중심의 일극 질서를 공고히 하는 방향에서 정책을 구사하였다... [한미FTA] 각 분야별 한미 FTA의 영향: 보건의료 [각 분야별 한미 FTA의 영향: 보건의료] 한미 FTA가 한국 보건의료에 미칠 영향 건강권 실현을 위한 보건의료단체연합 한미 FTA는 단지 있던 시장을 서로 열어젖힌다는 것의 문제만이 아니다. 한미 FTA는 그동안 너무나 당연히 여겨졌던, 그리고 사실 너무나 당연한 여러 사회적 합의들을 무너트리고 모든 것을 상품의 논리, 자본의 논리로 재편하려 한다. 한미 FTA는 당장 국민의 생명을 위협하는 미국산 광우병 쇠고기를 수입하게 만들고 고유의 문화를 지키기 위한 스크린 쿼터마저도 축소시키고 있다. 국민 생활의 기본조건으로, 또한 식량주권으로 인식되어온 농업에 대한 정책적 뒷받침을 해체하고 있다. 이것만이 아니다. 전통적으로 국가의 책임으로 인식되어 온 의료와 교육과 같은 공공서비스 분야를 한-미 FTA는 .. [한미FTA] 각 분야별 한미 FTA영향: 제조업 [각 분야별 한미 FTA영향: 제조업] 한미 자유무역 협상(FTA)이 제조업에 미치는 영향 민주노총 정책연구원 박유순 연구위원 □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은 급속한 시장 개방과 경제 예속을 가져온다. - 2006년 2월 3일 한-미 FTA 협상 본격적으로 개시되었다. - 경제 규모 세계 1위의 미국 시장과 한국 시장이 통합되는 것이나 실질은 미국 시장에 편입되는 것임. 따라서 미국 경제에 예속 되면 세계적으로 가장 고용불안이 심한 미국식 고용 관계를 강요 할 것임. - 시장 통합은 우리나라 비교열위 해당 산업은 붕괴하거나 수직 계열화 됨. - 경제 예속은 정치․군사적 예속을 수반하게 되고 최근 합의한 주한 미군의 전략적 유연성에 따른 국제 분쟁(대 중국 등)에 휘말려들 가능성 고조됨. - 이는 북과의.. [한미FTA] 각 분야별 한미 FTA의 영향: 금융 [각 분야별 한미 FTA의 영향: 금융] 한미 FTA 대참극 야기할 것 투기자본감시센터 운영위원 스크린쿼터를 반동강내면서 한미 FTA논의가 본격화 되었다. 한미 FTA를 체결하기만 하면 우리 경제는 머쟎아 장밋빛 꽃밭을 거닐 듯한 기세다. 우리가 수출로 먹고 사는 데 한미 FTA가 좀 문제가 있다손 치더라도 불가피하지 않냐는 소리도 적잖다. 그래서 영화계가 이번에는 좀 양보하라고도 한다. 하지만 가만히 짚어 보면 결코 문제는 만만치가 않다. 우선 약간의 개념정리부터 해둘 필요가 있다. 특히 BIT(양자간 투자협정)와 FTA의 관계를 짚어 두자. 미국이 최근 체결한 FTA의 조약문을 분석해 보면 BIT 특히 그 신모델인 BIT 2004는 FTA의 투자, 금융, 분쟁조정등의 장을 단지 별개로 분리시킨 것에 .. [한미FTA] 각 분야별 한미 FTA의 영향: 교육 [각 분야별 한미 FTA의 영향: 교육] 한미 FTA 교육개방이 한국교육에 미치는 영향 전국교직원노동조합 1. 2006년 2월 8일 교육부가 발표한 주요 업무계획에 나타난 교육개방 추진계획 ◦ 경제자유구역 등에 외국대학 유치 적극 추진 - 경제특구내 외국대학(원) 분교 유치를 위해 교지(校地)ㆍ교사(校舍)의 임차, 수익용기본재산 보증보험 대체 허용 등 대폭적 규제 완화 ※외국교육기관 설립․운영을 위한 특별법 및 동법 시행령 제정 (’05.12.1 시행) - 교육부, 재경부 등 관계부처 협조체제를 구축하여 우수 교육 기관을 유치하기 위한 국가적 차원의 지원전략 검토 ◦ 외국 대학(원)과의 교육․연구 교류 활성화 -복수학위제, 공동명의 학위제 등 교육과정 공동운영을 활성화하기 위해 대학 평가와 연계 추진 ※.. [한미FTA] 각 분야별 한미 FTA의 영향: 문화 [각 분야별 한미 FTA의 영향: 문화] 스크린쿼터 축소 방침의 문제점 문화침약 저지 및 스크린쿼터 사수 영화인대책위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을 시작하려면 한국영화부터 죽이고 오라!” 이 오만방자하고 후안무치한 미국의 끈질긴 요구에 노무현 정부가 드디어 무릎을 꿇었다. 1월 26일 한덕수 부총리의 스크린쿼터 73일 축소방침 발표에 이어 정동채 문화관광부 장관은 5년간 4천억 원을 한국영화산업에 지원하겠다고 발표했다. 곧 이어 2월 2일 미국정부와 재계의 대대적인 환호 및 이 되어야 한다는 천명 아래 한국과 미국 정부는 FTA협상 개시를 공식 발표했다. 한국정부가 미국에 FTA를 구걸하는 대가로 한국영화시장을 건네준 것이다. 이로써 지난 8년간 우리 사회를 뒤숭숭하게 흔들어온 "쿼터축소=한미FTA"라는.. 이전 1 2 3 4 5 다음 목록 더보기